티스토리 뷰

미술

팝 아트와 초기 아티스트

하마-- 2021. 11. 28. 09:29

팝 아트

팝 아트(영어 pop art)는 1960년대 초엽에 뉴욕을 중심으로 출현한 미술의 한 장르이며 로이 리히텐슈타인 앤디 워홀 클래스 올덴버그 등이 그 대표적인 작가로 알려져 있고 1950년대 중반에 영국에서 그리고 1950년대 말 미국에서 등장한 예술 사조이며 당시 주류를 이루던 추상표현주의에 반작용 또는 확장으로 등장했다는 의견도 있다.

배경

195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는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최고치에 이르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사람들이 자연환경이 아니라 광고판 대중매체와 친해지게 된 것에 착안해 추상주의에 식상함을 느낀 화가들이 TV나 잡지 광고에 등장하는 이미지를 작품의 재료로 채택하였다.

발전

팝 아트의 발단은 매스 미디어에 주목한 1950년 초의 리처드 해밀턴 등의 영국 작가였으나 미국의 팝 아트는 도시의 정보문화가 만드는 대중적인 이미지를 대폭적으로 받아들여 미술을 대중적인 영역으로서 독자적으로 확대해 갔다. 뉴욕의 팝 아티스트들은 반예술을 지향하면서 신문의 만화 상업 디자인 영화의 스틸 텔레비전 등 매스미디어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주제로 삼았다.

더욱이 1960년 프랑스의 비평가인 피에르 레스타니에 의하여 결집된 누보 레알리즘(신레알리즘)도 제2의 자연으로 화해 버린 도회적인 현실에 대응한 파퓰러(popular) 아트를 추진하였고 아상 블라 쥐(모아 합치기)와 정크 아트(廢品藝術)는 네오다다이즘을 더한 이세 유파(流派)에 공통되는 기법이다.

특징

추상주의가 추상적이었다면 팝은 구상적이었고 또한 새로운 것을 추구하였고 직접 관찰된 실제 그대로의 이미지가 아니라 인공적인 제 2의 이미지를 채택한다는 면에서 어떻게든 가공과정을 거쳐야 하며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이나 도전보다는 대중문화를 그림의 소재이자 정보로서 이용하는 중립적 입장에 있고 간결하고 명확하게 평 면화된 삭면과 원색을 사용하였고 에로티시즘의 표현-도구화된 성과 상업화된 성을 표현하였다.

팝 아티스트

초기 영국의 팝아티스트

에두아르도 파올로치, 리처드 해밀턴

영국의 팝아티스트

데이비드 호크니, 앨런 존스, 피터 블레이크

네오 다다이스트

로버트 로젠버그, 재스퍼 존스

미국의 팝아티스트

앤디 워홀, 콘래드 리치, 로이 리히텐슈타인, 클래스 올덴버그, 짐 다인, 제프 쿤스, 키스 해링

Photo by Mayur Deshpande on Unsplash

에두아르도 파올로치

예술가 정보

출생 1924년 3월 7일 리스

사망 2005년 4월 22일 런던

직업 조각가, 대학 교수, 화가, 디자이너, 그래픽 예술가, 도예가, 배우, 판화가, 제도사, filmmaker muralist, 콜라주 제작자

국적 영국

학력 Edinburgh College of Art Slade School of Fine Art Saint Martins School of Art

장르 추상화, figurative art

분야 조각

사조 팝 아트, 현대 미술

수상 Commander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 (1967) 괴테 메달 (1991) 최하위 훈작사

영향

에두아르도 파올로 치(Eduardo Luigi Paolozzi 1924년 5월 7일 ~ 2005년 4월 22일)는 스코틀랜드의 조각가 예술가이며 팝 아트의 선구자들 가운데 한 명으로 간주되고 있다. 영국의 조각가로 에든버러에서 출생하였고 양친은 이탈리아인이며 에든버러 미술학교 런던 슬레이드 미술학교를 나온 후 1949년 센트럴 미술 디자인학교 옷감 디자인 교사로 재직하였고 1947년 런던에서 개인전을 처음 갖기 시작하여 구미에서 자주 개인전을 가졌다. 그리고 1952년 베네치아 비엔날레 전(展) 이후 수많은 국제전에 출품하였으며 세인트마틴 미술학교 조각 교사 왕립 미술대학 도예 강사로 있으면서 미술교육에도 힘을 쏟았다.

그의 작품은 기계와 로봇에 관심을 쏟아 SF적 이미지를 입체화한 것이 특색이며 1981년 이후 뮌헨 조형 미대 교수로 재직하였고 주요 작품으로는 <원과 사각을 지닌 도시> 등이 있다.

리처드 해밀턴 (예술가)

예술가 정보

출생 1922년 2월 24일 런던

사망 2011년 9월 13일 런던

직업 화가, 데생 화가, 콜라주 제작자, 사진가, computer artist

국적 영국 그레이트 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 - 1927) 잉글랜드

학력 Slade School of Fine Art Saint Martins School of Art

제자 Renee Nele

장르 팝 아트

분야 콜라주

사조 팝 아트,

현대 미술 수상 Max Beckmann prize (2007), 다카마쓰 노미야 전하 기념 세계문화상 (2008)

주요 작품

오늘의 가정을 그토록 색다르고 멋지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영향

리처드 윌리엄 해밀턴 CH(영어 Richard William Hamilton 1922년 2월 24일 ~ 2011년 9월 13일)은 영국의 화가이자 콜라주 예술가이며 그의 1955년 전시회 《맨 머신 앤드 모션》(Man Machine and Motion)과 인디펜던트 그룹의 전시회 《이것이 미래다》(This Is Tomorrow)를 위해 제작한 1956년 콜라주 《오늘의 가정을 그토록 색다르고 멋지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는 비평가들과 역사가들에게 초창기 팝 아트 작품으로 여겨진다. 1968년 발표된 비틀스의 The Beatles의 표지를 제작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고 그의 작품에 대한 회고전이 2014년 5월까지 테이트 모던에서 열렸다. 테이트 갤러리가 그의 경력에 걸친 광범위한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고 1996년 빈터투어 미술관(Kunstmuseum Winterthur)이 해밀턴이 제작한 상당한 양의 판화를 기증받았으며 가장 많은 해밀턴의 판화를 보관하는 미술관이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 우정아(2021). 서양미술사의 확장된 시간과 공간. 역사학회.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