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품 세계 호크니는 페인팅, 드로잉, 판화, 수채화, 사진뿐 아니라 팩시밀리나 종이 펄프, 컴퓨터와 아이패드의 드로잉 프로그램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실험하며 작품을 했고 정물 풍경 친구들의 초상화나 애완견 등을 주로 많이 그렸지만 뉴욕시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나 영국 루이스의 글라인 드본(Glyndebourne) 오페라 극장 런던의 로열 코트 극장(Royal Court Theatre) 등 무대 디자인에도 관심을 보였다. 초상화 어떤 새로운 작업을 하든 호크니는 결국 늘 초상화 작업으로 돌아왔다. 1968년부터 이후 몇년 동안 호크니는 친구 연인 친척들을 모델로 해서 인물의 특징을 사실주의적으로 잘 잡아 그린 등신대 초상화와 2인 초상화를 그렸다. 호크니는 동일한 인물들을 ..

데이비드 호크니 (David Hockney) 예술가 정보 출생 1937년 7월 9일 (84세) 브래드퍼드 직업 화가, 판화가, 사진가, 무대 디자이너, 데생 화가, 삽화가, 석판화가, 그래픽 예술가, 조각가, 콜라주 제작자, 제도사 국적 영국의 기 영국 학력 영국 왕립예술대학 첼시 예술대학교 Bradford Grammar School 스승 Frank Lisle 분야 회화, 판화, 사진, 무대 디자인 사조 극사실주의, 현대 미술, 팝 아트, Nouveau réalisme 수상 다카마쓰노미야 전하 기념 세계문화상 (1989), 캘리포니아 명예의 전당 (2015) 주요 작품 더 큰 첨벙, 예술가의 초상 영향 파블로, 피카소, 프랜시스 베이컨 소개 데이비드 호크니(영어 David Hockney OM CH 193..

팝 아트 팝 아트(영어 pop art)는 1960년대 초엽에 뉴욕을 중심으로 출현한 미술의 한 장르이며 로이 리히텐슈타인 앤디 워홀 클래스 올덴버그 등이 그 대표적인 작가로 알려져 있고 1950년대 중반에 영국에서 그리고 1950년대 말 미국에서 등장한 예술 사조이며 당시 주류를 이루던 추상표현주의에 반작용 또는 확장으로 등장했다는 의견도 있다. 배경 195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는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최고치에 이르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사람들이 자연환경이 아니라 광고판 대중매체와 친해지게 된 것에 착안해 추상주의에 식상함을 느낀 화가들이 TV나 잡지 광고에 등장하는 이미지를 작품의 재료로 채택하였다. 발전 팝 아트의 발단은 매스 미디어에 주목한 1950년 초의 리처드 해밀턴 등의 영국 작가였으나 미..

아웃사이더 아트 아웃사이더 아트(영어 outsider art)는 정식으로 미술 교육을 받지 않은 이들이 기성 예술의 유파나 지향에 관계없이 창작한 작품을 가리킨다. 아웃사이더 아트라는 용어는 예술 평론가인 로저 카디널이 고안했는데 프랑스의 화가 장 뒤뷔페가 전통적 문화 바깥에서 만들어지는 예술을 나타내기 위해 만든 단어인 아르 브뤼(art brut)의 번역어로서 만들어졌다. 아르 브뤼는 프랑스어로 살아있는 미술 원생 미술을 뜻하며 특히 정신병원이나 수용소에서의 예술에 초점을 맞춘 뒤뷔페의 용어가 다분히 좁은 의미를 가지는 데에 비해 아웃사이더 아트는 정식 예술 교육을 받지 않은 소박파(나이브 아트) 제작자와 같은 경우에도 넓게 쓰인다. 보통 아웃사이더 아티스트로 분류되는 이들은 주류 예술계와의 접촉을 거..

청기사파 청기사파(Der Blaue Reiter)는 1911년부터 1914년까지 활동한 표현주의 화풍 중 하나이며 대표적인 화가는 바실리 칸딘스키 프란츠 마르크 파울 클레 등이 있고 이들은 에른스트 키르히너 등이 결성한 다리파(1905~1913)와 함께 유럽에서 표현주의의 정착에 기여했고 청기사파는 제1차 세계대전의 시작과 함께 칸딘스키가 러시아로 압송되고 마르크가 살해당하면서 종말을 맞았다. 배경 독일 뮌헨에서 발생한 화풍으로 뮌헨 신미술가협회에서 비롯되었으나 예술관의 차이로 개별적인 노선을 걷게 되었고 신미술가협회의 회장이었던 칸딘스키는 새로운 기법에 대한 수용에 있어 회원들과 갈등을 빚은 뒤 표현의 자유를 강조하는 독자적인 화풍의 개발을 결심하게 되었고 그는 프란츠 마르크와 함께 푸른 색에 대한 선..

미래파 미래파(未來派 futurism)는 1909년 이탈리아의 시인 필리포 톰마소 마리네티(Filippo Tommaso Marinetti)에 의해서 제창된 예술 운동이며 과거의 전통을 부정하고 근대 문명이 낳은 속도와 기계를 찬미하는 것을 시의 본령으로 삼았다. 단명하기는 했으나 움베르토, 보초니,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블라디미르 , 마야 콥스 키 등이 미래파 운동의 대표자이며 미래파 행위는 예술의 전분야에 걸쳐 행해졌다. 배경 19세기 동안 유럽 각국들은 각기 다른 시기에 산업화가 일어났으며 그 정도도 달랐다. 또한 산업화로 인하여 각국은 전통과 근대화 사이에 충돌이 생기게 되었고 산업화로 인한 대량생산과 이에 따른 경제구조의 전환에 의한 예술의 질적 하락에 반대하여 예술수공예운동이 일어났다. 하지만..

신조형주의의 역사 초기 역사 인상주의의 혁명적인 회화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뒤따른 새로운 미술 운동들이 계속하여 나타난 이후 입체파가 20세기 초반에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새로운 조류로 떠올랐다. 네덜란드에서도 역시 이 새로운 미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 중립을 유지했기 때문에 네덜란드의 예술가들은 1914년 이후 네덜란드를 떠날 수 없었고 국제적인 미술 세계(특히 당시 예술의 중심이었던 파리)와 고립되었고 이 시기 동안 화가인 테오 판 두스뷔르흐는 잡지를 창간하고 새로운 미술 운동을 시작하기 위해 다른 예술가들을 찾아다녔다. 판 두스뷔르흐는 작가 시인 비평가이기도 한데 독립된 예술가로서 활동하는 것보다 예술에 대해 저술하는 것에서 더욱 성공한 인물이었고 그..

신조형주의 신조형주의(新造形主義 네덜란드어 Nieuwe Beelding 영어 neoplasticism) 또는 데 스틸(네덜란드어 De Stijl→양식 영어 The Style)은 1917년 네덜란드에서 시작한 예술 운동이며 좁은 의미에서 De Stijl이라는 단어는 1917년에서 1931년 네덜란드에서 만들어진 작품들의 모임을 가리킨다. 데 스틸은 네덜란드의 화가와 디자이너 작가 비평가 테오 판 두스뷔르흐(Theo van Doesburg 1883-1931) 등이 출판한 잡지의 이름이기도 하며 이 모임의 이론을 전파시켰다. 판 두스뷔르흐 다음으로 이 모임의 주요 멤버는 화가인 피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 빌모스 후사르(Vilmos Huszàr 1884–1960), 바르트 판 데..